"죽어도 좋고 살면 더 좋고"
입력 : 2014.11.28 05:29 / 조선일보 김한수 문화부 기자
召天·善終·入寂
풋내기 종교기자 시절, 각 종교에서 죽음을 가리키는 용어가 다 다르다는 게 쉬 적응되지 않았다. 불교만 해도 열반(涅槃), 입적(入寂), 원적(圓寂) 등이 골고루 쓰인다. 처음엔 자료를 보내오는 쪽에서 쓴 용어를 이것저것 다 그대로 썼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입적'으로 단일화했다. 열반은 '불교에서 설(說)하는 최고의 이상향'(한국민족문화대백과)이라 그 이상향에 진짜 가셨는지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에 제(除)했다. 원적은 '모든 덕이 원만하고, 모든 악이 적멸한다'(문화원형 용어사전)는 뜻이라 또 뺐다. 입적은 '고통과 번뇌의 세계를 떠나 고요한 적정(寂靜)의 세계에 들어섰다'는 뜻. 객관적으로 보더라도 이 단어는 써도 무방한 것 같아 스님들의 죽음을 가리킬 때 쓰는 용어는 '입적'으로 낙착됐다.
문제는 개신교계에서 쓰는 '소천(召天)'이었다. '부를 소(召)' '하늘 천(天)', 글자 뜻으로만 보자면 '하늘의 부르심'이다. 개신교계에서 언제부터 이 단어가 쓰였는지는 불확실하다. 하지만 이 용어의 문법적 구성에 대해 개신교계 내부에서도 고민이 많다. '~하다'를 붙여 동사로 쓸 수가 없기 때문. '하다' 혹은 '했다'고 할 수 있는 이는 하나님뿐이다. 그래서 정확히는 '소천됐다' 혹은 '소천당했다'고 써야 한다. '소환(召喚)'과 한가지다. 그런데 '소천됐다'고 쓰자니 또 어색했다. 새 용어를 구해보려는 노력도 있었으나 아직 마땅한 대안이 나오지 않고 있다. 기자는 언젠가부터 개신교 목사님들이 돌아가셨을 때 기사에 '별세' 혹은 '영면(永眠)'이란 일반 용어를 쓰고 있다.
하지만 용어가 죽음을 거룩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 법. 죽음을 빛내는 것은 역시 생전의 종교인다움이다. 쉰이 안 돼 세상을 떠난 한 선객(禪客)은 평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죽어도 좋고, 살면 더 좋고." 그의 장례식장 앞에는 이런 꼬리표를 단 조화(弔花)가 있었다고 한다. "달은 져도 하늘을 여의지 않는다." 과연 유유상종(類類相從)! 생전의 그를 만나지 못한 것이 아쉬울 뿐.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살며 생각하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 마음 (0) | 2014.12.18 |
---|---|
아비는 煉炭(연탄)… 가족 덥히며 잿덩이가 된다 (0) | 2014.12.18 |
내 몸이 법당… 무너지지 않게 마음을 돌보라 (0) | 2014.11.28 |
피노키오 '코스프레' (0) | 2014.11.20 |
네가 있어 내가 있다 (0) | 201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