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자료

[스크랩] 전통 윤리의 인간관

도깨비-1 2014. 7. 29. 15:41

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3.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3) 전통 윤리의 인간관
(교과서 52~56)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서 인(仁)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자기 몸을 희생해서라도 인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공자

[명륜당] : 서울의 성균관이나 각 지방 향교에 부설되어 있는 강학당(講學堂). 성균관 유생들이 이곳에서 글을 배우고 익혔으며, 왕이 직접 유생들에게 강시(講試)한 곳이다.

[전통윤리의 인간 이해]

1. 유교의 인간관   보충>윤리와 사상-[공자의 사상 : 인과 군자]

     (1) 인간의 도덕적 본성 : 하늘에 근거한 지순(至純)한 성품->인간 관계 속에서 완성

     (2) 인간의 본성[사단,四端] :  인의예지(仁義禮智), 그 가운데 인(仁)을 가장 중시

    • 인의 실천 : 인의 출발점은 효(孝)
    • 인간 관계는 가정에서 시작
    • 학문보다 인간됨을 강조

     (4) 분별적인 사랑 - 묵자[묵가(墨家)]의 ‘겸애설’에 대한 맹자의 비판

    • 겸애설(兼愛說) :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묵자가 주장한 윤리설로 '만인을 차별없이 사랑하고 이롭게 하자는 학설임.

      참고 : 삼강오륜 : 유학사상에는 '너'와 '나' 즉 '우리' 사이에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 삼강 오륜이 있다.

     

    항목

    윤리적 의의

    삼강
    (三綱)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은 신하의 벼리[모범, 닻줄]가 된다.

    종적윤리

    국가 윤리

    부위자강(父爲子綱)

    어버이는 자식의 벼리가 된다.

    종적윤리

    가정 윤리

    부위부강(夫爲婦綱)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된다.

    횡적윤리

    가정 윤리

    오륜
    (五倫)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다.

    종적 윤리

    가정 윤리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간에는 의리가 있다.

    종적 윤리

    국가 윤리

    부부유별(夫婦有別)

    지아비와 지어미간에는 구별이 있다.

    횡적 윤리

    가정 윤리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어린이간에는 차례가 있다.

    종적 윤리

    사회 윤리

    붕우유신(朋友有信)

    벗들간에는 믿음이 있다.

    횡적 윤리

    사회 윤리


    보충읽기자료 : 공자의 '인(仁)의 정신- 공자의 『논어』에서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 인간다움을 의미 : 仁者人也 (仁은 인간의 본성)
    • 인의 실천 덕목(인간다움의 바탕)
      孝悌也者 其爲仁之本與(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學而篇)
      -'부모님을 섬기는 효와 형제간의 우애는 곧 인(仁)의 근본이 되느리라.' 
      - 사람됨의 근본은 부모를 사랑하고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다.
    •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번지문인 자왈 애인, 문지 자왈 지인 / 안연편)
      - '번지가 인(仁)을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오." 또, 지(知)를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바로 아는 것이라."고 하셨다.
    • 唯仁者 能好人 能惡人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 이인편)
      - '오직 어진 자만이 능히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 목적적, 조건적, 구별된 사랑(맹목적 무조건적 사랑이 아님)
    • 主忠信하고, 克己復禮하라." (주충신, 극기복례)
      - '충실과 믿음을 주로하고,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라.'
      -
      충(忠) - 모든 인간관계에서 성실과 신뢰를 위주로 사는 것
    • 인의 단점 극복 : 克己復禮 爲仁 (극기복례 위인)
      -  '이기심을 버리고 예를 따르는 것이 곧 인(仁)이니라.'
      - 편협한 혈연, 지연의 이기주의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함.
    •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 안연편)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를 말라.'
      -
      서(恕) -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
    • 修己治人(수기치인)
      -'자기를 닦고 남을 다스리다.'
      - 사람됨의 도리요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도리

    • 己欲立而立人, 達而達人 (기욕입이입인, 달이달인)
      -'자기가 서고자 하면 먼저 남을 세우고, 이루고자 하면 남을 먼저 이루도록 하라.'
      -
      推己及人 (추기급인) '자기를 미루어(받듦이) 남에게 이르게 하라.'
      - 자기를 미루어 남을 헤아리며 베푸는 마음
    • 子曰, 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자왈, 지사인인 무구생이활인, 유살신이성인 / 위령공편)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뜻이 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인(仁)을 해치고서 생명을 구하는 일이 없으며, 자신을 죽임으로써 인(仁)을 이루도록 함이 있다"고 하셨다.
      -자기 희생적 사랑

    • 기타《논어》에서의 仁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 學而篇)
      - 공자 말씀하시길,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께 효를 다하고, 나와서는 우애를 다하라."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 學而篇)
      - 공자 말씀하시길, "아름다운 말과 예쁜 모양새는 인이 드물다."

      子曰 當仁不讓於師 (자왈 당인불양어사 / 衛靈公篇)
      - 공자 말슴하시길, "인을 실천할  일에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아니한다."


2. 불교의 인간관  [보충>윤리와 사상-석가모니의 사상대승불교사상]

     (1) 사회적 관계보다 개인의 깨달음 강조

    • 인간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음
    • 인간을 매우 긍정적으로 봄

     (2) 인간의 삶은 고통 : 3독(毒)-탐욕[탐貪], 성냄[진嗔], 어리석음[치痴]-을 지녔기 때문

     (3) 인간의 마음 구조를 꿰뚫어 알 수 있게 해 주는 참선

    • 호흡을 통하여 자기 마음을 관찰
    •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실상을 알게 됨



[이상적인 인간상과 바람직한 사회]

1.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 : 보살

보살도

[보살] : 보살이란 성불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보리살타(Bodhisattva)의 약칭이다. 보살은 위로는 부처를 통해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것 -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 일이다.

     (1) 지혜와 자비의 덕목을 갖춘 ‘보살’

      : 위로 깨달음을 구하고(上求菩提, 상구보리 - 지혜),
       아래로는 중생을 가르쳐 자비를 구현함(下化衆生, 하화중생 - 자비)

     (2) 지혜가 없는 자비는 맹목적인 사랑, 자비가 없는 지혜는 메마른 지식

    (3) 보살은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실천해야 한다. :   심화읽기 : 육바라밀 - 뜻풀이와 벽화이야기


2. 유학의 이상적 인간상 : 군자

     (1)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덕목을 구현하는 ‘군자

    • 철저한 인격 수양
    • 절대적으로 성실 : 태도, 생각, 행동, 의관(衣冠)
    • 천도(天道)와 일치하도록 노력하는 삶
    • 지행 일치
    • 불의와 타협하지 않으며, 조화를 강조
    • 도당(徒黨)을 만들어 편을 가르지 않음
    • 항상 겸허함

     

    보충읽기자료 : '군자'에 대하여-공자의 『논어』 

    •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
    • 인을 바탕으로 예를 실천하는 사람. 천인 합일(天人合一)한 사람.
    •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易說乎아,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易樂乎아. 人不知而不溫(마음 심방)이면 不易君子乎아."
      - 공자말씀하시길, 배움을 때로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뜻있는 자들이 먼길로부터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세상사람 나의 뜻을 몰라주어도 성내지 아니하니 또한 군자답지 아니한가?"[第一 學而편]
    • 君子는 務本이니 本立이 道生하나니, 孝悌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저.
      -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서면 도가 일어나느니, 부모를 사랑하는 효와 형제간에 우애하는 제는 사랑(인)의 근본이 되느니라.[學而篇]
    •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은 同而不和이며.
                    君子는 泰而不驕하고 小人은 驕而不泰이다."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 군자 태이불교 소인 교이불태)
      -"군자는 어울리나 똑같진 않고, 소인은 똑같은 짓을 하면서도 어울릴 줄 모른다.  군자는 태평하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면서도 태평치를 못하다."  


        보충읽기자료 : '구사(九思)-<군자가 생각하는 아홉가지>' 

    • 孔子 曰, 君子有九思하니, 視思明하며, 聽思聰하며, 色思溫하며, 貌思恭하며, 言思忠하며, 事思敬하며, 疑思問하며, 盆思難하며, 見得思義니라   -  [論語, 季氏篇]
      공자 왈, 군자유구사 시사명, 청사청,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 [논어, 계씨편]

      공자 말씀하시길 , "군자에게는 아홉가지 생각하는 바가 있나니,즉 볼 때는 분명히 판별 할 것을 생각하고, 들을 때는 확실히 깨달을 것을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용모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일 할 때는 신중하고 성실할 것을 생각하고, 의심나는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고, 화(盆)가 날 때는 잘못되어 걱정을 부모에게 끼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득을 보면 의로운가를 생각한다. - [논어, 계씨편]


     (2) 특히
    인(仁)의 정신 함양과 실천 강조 →점진적인 사랑


     (3) 바람직한 사회인 ‘
    대동(大同) 세계’구현 →정암 조광조의 도학(道學)정치 실현 의지 
          
    [읽기자료 : 정암 조광조와 도학정치]


3. 유학 사상에서의 교육의 중요성

    (1) 군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강조

    (2) 예절부터 시작하는 인성 교육

    (3) 참된 존재인 인간을 만들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

    (4) 교육의 기능 강조

    • 교육자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님
    • 학교는 ‘인륜을 밝히는 집(명륜당 明倫堂)’이어야 함

    (5) 유학을 사회의 주이념으로 한 동북 아시아 국가의 품위 유지

출처 : 古方의 溫故知新
글쓴이 : 고 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