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자료

[스크랩] 국악의 신명을 나누는 가수 이안

도깨비-1 2006. 9. 14. 21:42
국악의 신명을 나누는 가수 이안

 

취재, 글 박혜란 기자 | 사진 한영희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그는 몇 번씩이나 거리낌 없이 꿈꾸는 듯한 표정을 지었다. 영락없는 여행자의 얼굴이었다. 그 설렘, 열정은 곁에 있는 이의 마음에까지 속수무책으로 번진다.

 

  여느 젊은 가수들의 노래와는 다른, 동양적 감수성으로 가득한 그의 노래는 잊고 있던 옛 가락을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불러냈다. TV 드라마 <대장금>이 해외에서까지 화제를 모으고 그 주제곡을 부른 이에게까지 사람들의 관심이 미치면서, 국악을 전공한 이 가수의 특별한 이력이 매체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TV 교양 프로그램 등에서 그의 야무진 말솜씨를 접한 사람들은 “저이가 대체 누구야?” 하고 호기심을 품었다.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서 그렇지, 한 번 알게 되면 빠져들 거예요.” 그것은 국악에 대한 그의 해명이자, 바로 가수 이안(26세) 본인에 관한 설명이기도 했다.


  국악과 대중음악의 조화라는, 다소 험난한 길을 선택한 이 가수는 그 외에도 벌여놓은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생각한 게 백 개라면, 행동에 옮길 수 있는 건 겨우 열 개라며 애를 태운다. “간다! 하면 가고야 마는 성격이에요. 그래서 주변 사람들을 많이 괴롭혔어요. ‘아리요 콘서트’ 같은 것이 바로 그런 경우죠. 무료 공연이다 보니 아무래도 소속사에서도 난처한 기색이고, 또 준비하는 사람들은 좀 힘든가요. 그래도 고집을 부렸어요. 다른 일에선 말 잘 들을 테니, 제발 이것만은 계속 하게 해달라고요.”


  소외된 이웃, 문화를 접하기 힘든 서민들을 위한 무료 길거리 공연인 ‘아리요 콘서트’를 그는 이미 45회나 열었고, 앞으로 100회를 채우리라 마음먹었다. 그렇다고 서둘러 회수만 채우는 것은 그에게 무의미하다. 꼭 필요한 곳에 꼭 맞는 방식으로 다가갈 것. 뜻이 좋다고 무조건 사람들의 환영을 받는 것이 아님을 그는 알고 있었다. 장소 선정에서부터 공연 형식에 이르기까지 꼼꼼하게 기획하고 준비했다. 그랬기에 동대문 지하철역에서 첫 공연을 가진 이래 전국의 교도소, 노인복지시설, 미혼모보호시설, 장애인시설, 요양원, 노숙자쉼터, 시골 분교 등을 찾아다니며 수차례 공연을 열었지만 그 중 똑같은 공연은 한 번도 없었다. 병원에서 콘서트를 열었을 때는 거동이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병동마다 돌며 노래를 배달(?)하기도 했다. “제가 과연 이타적인 마음에서만 그랬을까요? 아니요, 오히려 이 공연이 저를 지탱해주고 있어요. 한 가수의 버티기 작전이랄까, 적어도 100번을 채울 때까지는 가수로서 최선을 다하겠지요? 그리고 이런 기회가 아니면 제 평생 언제 지하철역이나 기차역 광장 같은 곳에서 마음껏 노래를 불러보겠어요.”

 


  알고 보니 그의 거리 공연 이력은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국악 중 · 고등학교를 나온 그는 자신이 그토록 사랑해마지 않는 음악에 관해 사람들이 무관심한 것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중학생 때부터 친구들과 함께 원하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가 연주하며 국악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그때부터 ‘음악은 나누는 것’이란 ‘습관’이 들었다고 했다. 대학의 국악과에 재학 중이던 2002년에는 같은 과 친구 둘과 ‘워킹 코리아Walking Corea’라는 팀을 결성해 6개월간 세계 곳곳의 거리를 누비기도 했다. “나름 절박한 심정으로 떠난 여행이었어요. 사회에서 이토록 환영받지 못하는 음악을, 내가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계속 하는 게 과연 옳은 선택인지 고민했죠.” 인도 강가 강에서, 네팔 룸비니의 논두렁에서, 베를린 장벽 앞에서, 영국 하이드파크에서, 파리 예술의 다리에서 그는 우리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하고 춤췄다. 낯선 나라의 관객들이 그 공연에 보내준 반응은 뜻밖에도 감격적인 것이었다. “결론은 해야 한다, 가치가 있다, 였어요. 그 여행에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은 바로 믿음이에요. 내가 해왔던 음악에 대한 믿음, 자부심. 그래서 사람들이 이 음악의 가치를 깨닫고 좋아할 수 있도록 만남을 주선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됐지요.”


  좀처럼 국악과 친해지기 힘들다면 그는 라디오에서 하는 국악방송을 꾸준히 들어보라고 권한다. 한국 사람의 유전자는 원래 국악에 맞도록 타고났다는 게 그의 생각. 국악의 특징이 곧 한국 사람의 기질이라는 것이다. “국악의 매력은 극과 극을 오간다는 데 있다고 생각해요. 아주 흥겹거나 한에 사무치거나, 아주 맑거나 아주 거칠거나, 어중간한 것이 없어요.”
 ‘잘한다’ ‘자주 한다’는 말보다 ‘좋아한다’는 말을 즐겨 쓰는 그는, 언젠가 음악학교를 세우리라는 꿈을 가지고 있다. “학교를 세우려면 얼마나 많은 것을 갖추어야 하겠어요. 그때를 위해 차근차근 배우고 다져야 할 게 많아요.” 그 꿈이 그를 강하게, 빛나게 단련할 것이 분명했다

 
출처 : 월간<샘터>.샘터 책.샘터파랑새극장
글쓴이 : 샘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