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박사

英뉴캐슬 과학자 “황교수에게 제2의 기회를”

도깨비-1 2006. 1. 15. 22:30
英뉴캐슬 과학자 “황교수에게 제2의 기회를”
2006년 01월 14일 | 글 |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김수연 동아닷컴 기자 ㆍ
 
지난해 5월 ‘리프로덕티브 바이오메드신 온라인’에 기재된 ‘난자의 이종 핵치환을 통한 인간배반포 형성’논문으로 이슈가 된 영국 뉴캐슬대 미오드래그 스토이코비치 박사.
황우석 교수 연구팀 외에 체세포 핵치환 기술을 갖고 있다는 영국 뉴캐슬대학의 전직 핵심 연구원인 미오드라그 스토이코비치(41) 박사는 “황 교수가 연구를 재개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혀왔다.

스토이코비치 박사는 14일 영자신문인 코리아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무쪼록 이 인터뷰가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황 교수는 복제된 인간 배아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황 교수가 지난 12일 기자회견에서 밝힌 것처럼 스토이코비치 박사는 뉴캐슬대학 연구팀이 연구과정에서 황우석 연구팀의 자문을 받았던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배반포 형성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황 교수에게 자문을 구했다는 것이 사실이냐’는 질문에 “그렇다. 지난해 나는 우리 팀의 박사과정 학생이 황 박사의 연구실을 방문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한 적도 있다”고 답했다.

또한 그는 “그것이 영국정부인지 확실히 모르겠지만, 나는 황 교수에게 우리 팀이 핵치환 라이센스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추천서를 써달라고 부탁했는데, 황 교수는 아주 협조적이었고 즉각 추천서를 써줬다”고 말했다.

스토이코비치 박사는 “황 교수처럼 체세포를 이용해서 10% 수준의 핵치환 배반포를 얻는 것은 인간 핵치환 연구분야에서 엄청난 업적”이라며 “지금은 누가 세계 최고냐 하는 논쟁을 그만둘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경쟁자가 아니다. 경쟁은 과학자들 끼리 하는 게 아니라 시간과 해야 한다”며 “환자들은 치료법 개발이 한국이든 영국이든 어디에서 오든지 상관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뉴캐슬대학의 앨리슨 머독 박사와 미오그라그 스토이코비치 박사는 지난해 5월 19일 영국 최초로 인간배아를 복제했다고 밝혔으나, 기술력은 황 교수팀 보다는 약간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황 교수처럼 체세포 대신 일반 수정란의 줄기세포의 DNA를 핵이 제거된 36개의 난자에 넣어 융합(복제)시켜 3개의 배아를 만들었으며, 그 중 하나는 5일까지 생존해 배반포기 까지 길러냈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朴世必) 소장도 “이미 분화되고 있는 줄기세포를 난자에 주입하는 것하고 체세포 복제 배반포를 만드는 것은 차원이 다른 기술”이라며 “황 교수팀보다 뒤 떨어진다”고 말한 바 있다.

세르비아 출신의 스토이코비치 박사는 2004년 영국 정부가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허용한 이후 뉴캐슬 대에 머물며 20여명의 연구팀을 이끌고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주도하면서 영국을 이 분야의 선도 국가로 만들었다.

2005년 5월에는 뉴캐슬대에서 ‘리프로덕티브 바이오메드신 온라인(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저널에 기재한 ‘난자의 이종 핵치환을 통한 인간배반포 형성’ 논문의 교신 저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좀 더 나은 조건을 찾아 영국을 떠나, 현재는 스페인의 최신 연구실에서 250명의 연구원을 지휘하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스페인 측은 그에게 3억 스위스프랑(약 2300억원)의 자금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