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음식

[스크랩] 인체구조와 우리몸의 장기와 하는일

도깨비-1 2013. 2. 3. 10:50

 

인체,위장과,눈,귀,심장,기타 장기의 구조

2007.11.21 18:04 | 인체의 구조 |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위액의 분비가 활발해진다.]

위에 음식물이 들어가면 위 점막 표면에는 한꺼번에 이슬같은 작은 액체 방울이 스며나와

위벽을 따라 덜어진다.

이것이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 위액이다.

위액의 분비는 자율신경(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관계한다.

음식물을 보거나 위에 음식물이 들어갔을 때 그 정보가 부교감신경에 전달되어 위액을

분비하는 작용을 한다.

초조해하고 있을때는 교감신경이 위액의 분비를 방해하기도 한다.

음식물이 구강에서 항문까지의 위장관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4~48시간에 이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6/17_31_23_31_0D2YZ_IMAGE_0_50.jpg?original&filename=50.jpg')">

인체,위장과,눈,귀,심장,기타 장기의 구조

2007.11.21 18:04 | 인체의 구조 | 송이와영지

http://kr.blog.yahoo.com/yottalee/6280  주소복사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위액의 분비가

인체 내부 구조

 

 

(소화기계의 구성) 

https://t1.daumcdn.net/blogfile/fs7/17_31_23_31_0D2YZ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흉강내의 심장 그리고 심장과 관련된 장막의 위치)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7_31_23_31_0D2YZ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상부 호홉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머리의 시상단면) 

여러 개의 부비동(코곁동굴)의 구멍, 눈물이 배출되는 비루관(코눈물관)의 구멍, 고실과 인두를

연결하는 중이관(귀인두관)의 구멍등이 비강으로 열려 있다(배출경로는 화살표로 표시 하였음,)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7_31_23_31_0D2YZ_IMAGE_0_55.jpg?original&filename=55.jpg')">

(흉강내의 폐 위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0/17_31_23_31_0D2YZ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복강장기와 복막의 위치 및 구성)

[간을 올린 상태에서 관찰되는 소망]

https://t1.daumcdn.net/blogfile/fs10/17_31_23_31_0D2YZ_IMAGE_0_55.jpg?original&filename=55.jpg')">

[대망을 젖힌 후 관찰되는 장간막]

https://t1.daumcdn.net/blogfile/fs2/17_31_23_31_0D2YZ_IMAGE_0_58.jpg?original&filename=58.jpg')">

(위의 부위 및 구조) 

https://t1.daumcdn.net/blogfile/fs2/17_31_23_31_0D2YZ_IMAGE_0_59.jpg?original&filename=59.jpg')">

(대장의 구분)

https://t1.daumcdn.net/blogfile/fs6/17_31_23_31_0D2YZ_IMAGE_0_51.jpg?original&filename=51.jpg')">

(구강 표면의 구조)  

https://t1.daumcdn.net/blogfile/fs7/17_31_23_31_0D2YZ_IMAGE_0_55.jpg?original&filename=55.jpg')">

[심장의 구조],뒤에서 본 모습 

https://t1.daumcdn.net/blogfile/fs7/17_31_23_31_0D2YZ_IMAGE_0_56.jpg?original&filename=56.jpg')">

[심장의구조], 안에서 본 모습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7_31_23_31_0D2YZ_IMAGE_0_56.jpg?original&filename=56.jpg')">

(종격과 흉막을 보여주는 흉강의 횡단면)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7_31_23_31_0D2YZ_IMAGE_0_57.jpg?original&filename=57.jpg')">

(흉선은 폐의 내측에 있는 종격에 위치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7_31_23_31_0D2YZ_IMAGE_0_32.jpg?original&filename=32.jpg')">

(미주신경의 분포)

https://t1.daumcdn.net/blogfile/fs6/31_5_1_5_09h50_IMAGE_0_51.jpg?original&filename=51.jpg')">

https://t1.daumcdn.net/blogfile/fs2/17_31_23_31_0D2YZ_IMAGE_0_60.jpg?original&filename=60.jpg')">

(모발과 모낭의 구조,모낭에서 뻗어나오는 모발의 전자현미경 관찰)

https://t1.daumcdn.net/blogfile/fs10/17_31_23_31_0D2YZ_IMAGE_0_57.jpg?original&filename=57.jpg')">

(주사전자현미경으로 280배 확대한 피부)

https://t1.daumcdn.net/blogfile/fs7/35_blog_2007_11_10_16_17_47355aa3dc8e9?original')">

(피부선의 종류)

https://t1.daumcdn.net/blogfile/fs6/31_5_1_5_09h50_IMAGE_0_55.jpg?original&filename=55.jpg')">

귀,(외이, 중이 및 내이의 부위)

https://t1.daumcdn.net/blogfile/fs6/31_5_1_5_09h50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안구의 시상면)https://t1.daumcdn.net/blogfile/fs5/17_31_23_31_0D2YZ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우측 눈의 외안근)

https://t1.daumcdn.net/blogfile/fs6/17_31_23_31_0D2YZ_IMAGE_0_53.jpg?original&filename=53.jpg')">  

(시상면에서 본 안구와 부속 구조물) 

https://t1.daumcdn.net/blogfile/fs6/17_31_23_31_0D2YZ_IMAGE_0_54.jpg?original&filename=54.jpg')">

(췌장과 그와 관련된 체장도) 

https://t1.daumcdn.net/blogfile/fs7/17_31_23_31_0D2YZ_IMAGE_0_57.jpg?original&filename=57.jpg')">

[세포막은 구형의 바깥쪽에 위치한 인산염과 소수성의 탄화수소(물결모양의선)로 이루어진 2층의

인지질로 구성된다.  단백질은 아마도 확실히 또는 부분적으로 막의 양끝을 연결한다.

탄수화물은 외부의 표면에 붙는다.] 

 

 

                                             [출처:인체해부학]

우리몸에는 수많은 장기들이 있어서

그 많은 장기들을 간단하게 나열하는것도 꽤나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요..^^

 


 

 

(간이 하는일)

담즙을 만든다.

간에서는 하루에 600cc(박카스 6병)정도의 담즙(쓸개물)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어 소화를 돕는다.

담즙은 음식물 중에서 기름기(지방분)을 소화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데 병으로 담즙의 흐름이 어려우면 황달을 일으킨다.

대변의 색이 노란것은 담즙의 색이다.

혈액을 만드는 일을 한다. 피속에 있는 적혈구의 성숙을 돕는 물질을 만든다.

혈액을 저장해 둔다. 혈액을 저장해 두었다가 피를 많이 흘렸을때 저장한 혈액을 동원한다.

알부민을 만든다. 영양분의 하나인 알부민은 간에서 만든다.

해독작용을 한다. 혈액속에 있는 독이 있는 물질을 독을 없애 뽑아내어 담즙에 섞어 배설한다.

이밖에도 간에서는 더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오장육부중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는 것이 간이다.


(심장이 하는 일)

심장은 온 몸에서 모여든 정맥혈을 폐로 보내어 산소를 공급받은 동맥혈을 다시 받아 들여

이것을 온몸에 나누어 주는 펌프역할을 하고 있다. 심장은 1分間 70-80회를 박동하고 있다.

이 박동이 빠르면 열이오르고 늦으면 차진다.


(비와 췌가 하는 일)

비가 하는일 ...혈액을 만드는 일과 혈액을 저장하는 일, 쓸모없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일,

피속에 균이 들어 오면 이것을 없애주는 면역체를 만드는 일 및 임파구를 만들어 저장하는 일 등을 하고 있다.

췌가 하는 일 ...췌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일을 한다.

하나는 만들어진 췌액을 십이지장으로 해서 소장속으로 보내어 소화흡수를 돕는 일을 하고,

하나는 "란겔한스씨도"라는 세포에서 호르몬 "인슐린"을 만들어 직접 피속이나 임파속으로 넣어주어

피속의 당분(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일을 한다.

이 "인슐린"의 생산이 모자라면 피소에 당분이 지나치게 남아돌게 되며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폐가 하는 일)

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들이 일을 하여야 하는데 이들 중에서 폐가 으뜸되는 장기이다.

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는 숨을 쉴때 공기가 들어 오는 길 즉, 기도이고

폐에서 공기속에 있는 산소를 피속으로 넣어 주고,

피속에 있는 탄산가스를 뽑아 내어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하고 있는것이다.

숨을 내 뱉는 것을 "호"라하고 숨을 들이쉬는 것을 "흡"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호흡이라 한다.

호흡을 하는데는 횡격막 즉 명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숨을 들여 마실때 배가 불룩하게 부풀어 오르는 것은

명치가 밑으로 내려 오기 때문이다.

호흡의 횟수가 연령과 男女에 따라 약간 다르다. 대체로 다음과 같다.

 

初生兒 : 60~70회 / 05~06세까지 : 25~26회 / 15~20세까지 : 20회 / 成人 : 16~17회

운동을 하여 몸안에 산소가 많이 필요하면 자연히 호흡회수가 늘어나고, 몸에 열이 있다던지,심장에 병이 있다던지,

또는 호흡기계에 병이 있으면 호흡회수가 많아진다.

 

(신장이 하는일)

신장의 속은 신우, 피질, 수질로 나누어지는데 피질속에 있는 신소체라는 곳에서 오줌을 걸러내고 있다.

오줌은 몸속에 생긴 노폐물이나 독이 있는 물질과 남아도는 물을 콩팥에서 걸러낸 것이다.

신은 몸안에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보전하는 일을 하며, 염기,

즉 소금기를 몸 전체에서 고루 퍼지게 하고 산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고로 신장에 病이 생기면 오줌에 즉각 반응이 나타나고, 온몸에 붓는 증세가 오며,

염기와 산도가 지나치게 몸안에 쌓이게 되어 혈압이 올라가게 된다.

 

(담이 하는 일) 

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쓸개물)을 그 속에 저장하며 담즙 속에 있는 물기를 12分의 1까지 쫄아들게

즉, 농축시키는 일을 한다.

그리고 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오게 되면

반사적으로 담낭이 수축되며 담즙을 쏟아내어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을 내려보낸다.

총담관이나 간관에 담석이 막히거나, 간 또는 담낭에 病이 생겨 담즙의 배석이 안되면

결국 답즙 성분이 피속으로 거꾸로 흘러들어 황달이 일어난다.

담즙 즉 쓸개즙은 간에서 하루 약 600cc(박카스 6병)정도가 만들어져 담낭에 보관된다.

담즙의 색깔은 미녹색이다. 이 미녹색이 물에 풀어지면 노란색을 띠는데 대변의 노란색이 담즙색이다.

담즙은 소장속에서 지방분 즉, 기름기를 소화하는데 작용한다.


(소장이 하는 일)

소장은 꿈틀 꿈틀 움직이는 연동 운동을 하며 내용물을 항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소장 속의 점막에는 장액을 만들어 내는 장선이 있는데

여기서 소화흡수를 하는데 필요로 되는 끈적끈적한 알카리성액을 만들어 낸다.

소장에서는 우리가 먹은 음식물중에서 영양분을 빨아들이는데 주로 췌액의 작용에 의한다.

그리고 쓸개즙(담즙)과 장액이 소화흡수를 돕는다.

물도 영양분의 일종으로 주로 소장에서 빨아들인다.


(위가 하는일)

위는 일정한 사이를 두고 율동적으로 되풀이 되는 운동을 한다.

이운동에 의하면 음식물을 위액과 섞으며 묽은 죽과 같이 부수어 놓는 일을 한다.

이것을 위의 소화작용이라하며 죽과 같이 된 음식물을 소장으로 내려 보내는 일도 한다.

위가 정상인 경우는 3~5時間에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보낸다.

위에서는 영양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알콜과 약간의 당분을 흡수할 뿐이다.


(대장이 하는 일) 

대장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운동을 조절한다.

대장의 운동으로 변이 항문쪽으로 이동된다.

대장은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한 음식물의 찌거기를 썩히는 일을 하고 있다.

대장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이것이 가능하며 음식물이 썩을때 까스가 생기며 부피가 줄어 들게 된다.

대장에서는 약간의 수분과 염류만을 흡수하고 대변 덩어리를 형성하고 배변을 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방광이 하는일)

방광은 신장에서 수뇨관을 통해 내려보내진 오줌을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즉 하루네,다섯번 몸 밖으로 배설하는 일을 한다.

출처 : 행운의 쉼터
글쓴이 : 행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