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글·역사·문화

[스크랩] 改過遷善(개과천선)

도깨비-1 2006. 8. 27. 18:29

 

 

改過遷善(개과천선)

儒林 214회에는 ‘改過遷善’(고칠 개/허물 과/옮길 천/착할 선)이 나오는데, 이 말은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을 뜻한다.

改자는 원래 ‘巳’(뱀 사)와 ‘ ’(칠 복)으로 이루어진 글자이다.用例(용례)에는 改頭換面(고칠 개/머리두/바꿀 환/얼굴 면:일을 근본적으로 고치지 않고 겉으로만 달라진 체함),改良(개량:나쁜 점을 고치어 좋게 함) 등이 있다.

過자는 발음 부분인 ‘’(어그러질 괘)와 걷는 동작을 의미하는 ‘ ’(쉬엄쉬엄 갈 착)이 결합된 글자이다.‘’는 점칠 때 쓰이던 ‘소 어깨뼈’의 상형이면서 ‘骨’(뼈 골)의 原形(원형)이라고 한다.過의 본래 뜻은 ‘지나가다’였으나 ‘지나치다’‘잘못하다’란 뜻으로 확대되었다. 용례로는 過客(과객:지나가는 손),過度(과도:정도에 지나침)가 있다.

遷은 ‘바뀌다’‘옮기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그 용례를 들어보면 左遷(좌천:낮은 관직이나 지위로 떨어지거나 외직으로 전근됨을 이르는 말),遷都(천도:도읍을 옮김),遷就(천취:견강부회하여 억지로 맞추기에 힘씀) 등의 말이 있다.

善자의 원형은 한 마리 ‘羊’(양)의 양쪽에 두 개의 ‘言’(언)이 합쳐진 형태이다. 그런데 ‘言’의 뜻을 무엇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입, 혀, 입 기운’이라고 보는 입장에서는 ‘양 두 마리가 대화하듯 다정하게 걷는 모습’의 상형이며,‘악기’와 이를 부는 ‘입’의 형상이라고 보는 관점에서는 ‘양 뿔 모양의 관악기’ 형상이라고 주장한다.‘착하다’라는 원래의 뜻에서 ‘좋다’‘친하다’‘길하다’‘옳게 하다’‘잘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어 쓰이고 있다. 용례로는 善導(선도:앞에서 잘 이끎),善書不擇紙筆(선서불택지필;일에 능숙한 사람은 조건을 탓하지 않는다는 뜻) 등이 있다.

改過遷善에 관한 故事는 晉書(진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晋(진)나라 혜제 때 어느 고을에 周處(주처)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아버지의 夭折(요절)로 인해 가정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방자함이 하늘을 찌를 듯하였다. 그러나 남달리 건장한 體軀(체구)에 性格(성격)까지 포악한 그와 맞서려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점차 철이 들면서 새로운 사람이 되고자 하였으나 아무도 그를 인정해 주지 않았다. 영문을 모르는 그에게 충격적인 이야기를 전해준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를 시급히 없어져야 할 세 가지 害惡(해악), 즉 남산의 호랑이와 長橋(장교) 아래의 蛟龍(교룡), 그리고 주처 자신이라는 것이었다. 충격을 입은 주처는 모든 해악을 제거하겠다고 마음먹고 호랑이 및 교룡을 물리쳤으나 사람들의 태도는 여전히 冷笑的(냉소적)이었다.

이에 고향을 떠나기로 마음먹고 東吳(동오)의 대학자 陸機(육기)와 陸雲(육운) 형제를 찾아 지난날의 과오를 솔직히 인정하고 배움을 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육운은 ‘당신은 아직 젊기 때문에 굳은 각오로 허물을 고쳐 나가면 새로운 삶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로 용기를 북돋워 주었다. 이때부터 주처는 10여년 동안 學德(학덕)을 갈고 닦아 마침내 巨儒(거유)가 되었다.

김석제 경기 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출처 : 改過遷善(개과천선)
글쓴이 : 미래소년 코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