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스크랩] 최경태 인터뷰- "난 포르노가 좋고 중독되어 있다"

도깨비-1 2008. 1. 5. 23:40
INTERVIEW
kellymama ART issue 03 - Choi kyoung Tae  




Choi kyoung Tae - KOREA FANTASY / SEOUL, 1992





최경태 선생님은 민중 미술 진영에서 활동해온 드물게 의식있는 화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의 위치를 말해달라


무직이다.
그리고
민중미술 진영의 작가들은 거의 모두 의식이 있는 사람들이라 생각한다.




Q Choi Kyung - tae,
you are considered the most conscious artist among the existing
'minjung'(民衆美術 Korean Independent art) artists.
Where do you think you are at the moment?


A I am unemployed.
I think every 'minjung' artist can be conscious.







Choi kyoung Tae - 나는야 자랑스런 대한의 아들, 목판화, 39×54cm, 1990




미국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구석에서 나 혼자 딸딸이 치게 만드는 넘들 아닌가?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이유는 그것이 정치적인 것이던, 문화적인 것이던간에..
예전이나 지금이나 자국의 이익을 위해 변함없이 남을 밟는 전형적인 '제국주의' 국가에
대해 떠들어 봤자 그 변함없음은 한 200년은 갈 것이다.




Q What is your personal view on USA?


A They make me masturbate myself in the corner.
I don’t interest myself with them.
They have been always stepped on other people for their own selfish needs.
I think talking like this about an empire. will not make them change at all for next 200 years.







Jeff Koons 作品 - WOMAN IN BATHTUB, 1988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경제가 정의롭지 않으니, 정치와 문화가 모두 후진국 수준이다.
특히 전통적인 유교문화와 실제 삶의 격차가 너무 크다.
그 격차에서 오는 가치관의 혼란도 심하다.
한마디로 하수구는 폭발 직전이다.




Q What are your thoughts on Korea?


A The politics, the art and culture is poor in Korea.
because the economic environment does not do any favours.
Especially, as there is a hug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t confuses our identity.
I can say the sewer is just about to explode.







Takashi Murakami 作品 - MY LONESOME COWBOY, 1998  





Choi kyoung Tae 作品 -  눈을 떠라!, 1990
  




최선생님에게 있어서 민중 미술은 도대체 무엇인가?


내속에서 퍼올려진 미술이다.
나는 내나라에서 태어나 청년기를 살고 그 정서를 그대로
몸에 체득, 육화되면서 살아왔다.
그래서인지 무슨 다른 것이 갑자기 튀어나오지 못한다.
미국이나 유럽얘들은 글로벌의 세계에서 절대 유리하다.
문화를 스스로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표면이 그럴듯한 예술작품을 그들처럼 흉내내는 한국 작가를 경멸한다.
한예로 어떤 유학파가 말이다..
넓은세상 보구서 기껏 한다는게, 그럴듯한 세련을 장식으로 치장하는 예술을 하면서

"너희들이 우물안에서 무슨 예술을 제대로 보겠니?"

라고 지껄이는 것을 볼때면 멀미가 난다.
그저 그럴듯한 예술품을 생산하는 짓은 절대 하고 싶지 않다.
내가 밥먹고 사는 이땅의 냄새와 하수도의 썩은내를 그대로 들이마시고 그걸 토해내고 있기에..
정녕 대한민국에서 "키퍼"나 "데미안 허스트" 는 나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다.
그렇다고 수구 꼴통으로는 보지는 마라
에릭휘슬의 그림을 좋아하는 것과 한국에서 그 의미를 따지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민중미술은 근대 이후 한국에서의 "유일한 자생미술"이며
나는 이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민중미술은 분명 뿌리가 되어야 한다.




Q What does 'minjung art'(民衆美術 Korean Independent art) mean to you?


A It's something coming from inside of me.
I was born in Korea, my country of origin and brought up in this culture.
Because of this background I can't do something else.
It is easier for American and European artists to do work globally and to be understood by the world
as they are at the forefront of world culture.
I hate Korean artist who just try to copy their style. For example I know one artist who studied abroad.
And after they were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all they do is to decorate their work saying,

“someone like you, how can you understand contemporary art, being the frog in the well?”

When I see them saying this I feel like I want to puke!
Most of all, I never want my work just look superficial. For me, my inspiration comes from my culture.
The smell of the country and the stinks of the sewer!
Damian Hurst and kipper mean nothing to me in Korea.
I don't want you to think I am a nut.
I think between loving and understanding Eric Fischl’s painting in Korea is two different matters.
'minjung art'(民衆美術 Korean Independent art) is the only art to be born in Korea after postmodernism,
this is very important to me.
'minjung art' should be essential.







Damien Hirst, Keith Allen, Alex James, FAT LES PHOTO CALL, 1998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작가가 있다면?


최진욱,최민화,최정화(윽! 다 최씨네) 에릭휘슬,발튀스
존경하는 작가
박수근,최병수,오윤



Q Do you have any artist you favour or respect?


A Choi Gin-uk, Choi Min-hwa, Choi Jeong-hwa, oops... they are all choi. Eric Fischl, Balthus,
I respect Park Soo-gun, Choi Byung-Soo, Oh Un.






    
최진욱(Choi Gin-uk) 作品 - 자화상,  1975




최민화(Choi Min-hwa) 作品 - 상고사 메모 / 조선진, 2003




최정화(Choi Jeong-hwa) 作品 -  MOTHER, 1998




Eric Fischl 作品 - BAD BOY, 1981   




Balthus 作品 - THERESE, 1937  





80년대 민중미술 이후 90년대부터 최근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는 젊은 작가가 있다면?


고승욱, 조습, 배영환



Q For you, after the 80’s independent art movement,
are there any artists who have captured the sprite of 90s independent movement until now?


A Go Seong-uk, Jo Sep, Bae Young-hwan.





어린 시절 가장 열중했던 것은 무엇인가?


만화보기
학교가는길 언덕에 만화가게가 있었다.
신간을 보려면 아침일찍 들러야했고..지각을 밥먹듯!
당시 "철인28호" "서부로가는길" "동물전쟁" "카르타" "라이파이" 등등에 빠졌다.

땡땡이
국민학교 6년 동안 전학을 7번 다녔는데..
자연스레 친구도 못사귀고 일주일에 두어번은 학교엘 가지 않았다.
땡땡이는 학교간다고 아침에 나와서 뒷산에 올라 도시락을 먹거나..
버스를 타고 서울역을 돌아오거나, 불광극장에서 "돌아온외팔이" 등을 관람했다.




Q What were you crazy about when you were a kid?


A Comic books. There used to be a comic book shop on the hill by my school.
I had to go there early to read new issues and was often late to school for this. At that time,
I was crazy reading books like 'Iron man 28', 'On the way to the west', 'Animal war', 'Karta', ' Lie pie' ect.
Because I had to change school 7 times over 6 years of my primary school education,
I couldn't make many friends and didn't go to school at least 2 days of the week.
Also, if I didn’t go to school I would go upto the hill with my lunch box and have lunch.
Or I would take a return bus journey to Seoul station or see a films like ' return of single arm'.







Choi kyoung Tae



가장 아름다운 시절이 있었다면? 왜?



25세에서 30세 당시..
돈이 일원도 없이 즐거울 수 있었고,
스레빠 끌고 광화문을 활보해도 그저 즐거웠고,
변혁의 시기,
구체적인 '나쁜놈'이 존재했기 때문에,
목적이 확실했기에,
(그 얼마나 단순하고 즐거운가!)
가슴아프고 활기찬 시대였기에
즐거웠다.
  



Q When was the most beautiful time in your life? And why?


A When I was 25 to 30.
I could enjoy myself even I didn't have a penny, I was happy.
To walk around 'kwang hwa moon'(光化門) with flip-flops made me happy.
(many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parade was there.)
These were transitional times.
There were bad guys(The fifth Republic / South Korea) but for me it was beautiful because I had a clear vision.
What a simple and enjoyable time!
It was pleasant whilst being painful and vibrant.







Choi kyoung Tae





가장 가슴 아팠던 사건이 있었다면?


개인적으로 여고생전 재판이다.
약 2년간 홀로 법정에서 재판을 치뤄야 했다.




Q What was the saddest event?


A Personally,
there was a 'school girl' exhibition who was on trial and sadly
I had to go through this trial alone for two years.







여고생展, 2001년




한국학생들에게 교복을 입히는 이유가 무엇이라 보는가?


일본식민의 잔재, 권력과 힘의 잔재라고 본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상류학교에서 교복을 입히는 걸로 알고 있다.
한국처럼 모든학교가 교복을 입는 나라가 일본 말고 또 있나?
사회주의국가는 개인의 자율을 통제함으로서 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교복을 착용하는게 자연스럽겠지만
(한국이나 일본도 요런 장점 때문인걸로 아는데),
우리 학생들에게 교복이 자연스러운가?
통제하는 기성세대에 남는 것은  "공격"(당하는 것) 뿐이 없지 않을까?




Q For you, what is the reason for Koreans wearing a school uniform?


A I think after being colonized by Japan, the influence is still with us. Although,
I know in Europe and the States, their private schools wear uniforms. However,
I don’t know of any other country except Japan and Korea where school uniform is compulsory.
It is common in socialist societies to give uniforms to students so that you can oppress their liberty.
I know Korea and Japan are doing this for the same reason.
(But does it look natural to Korean student?)
Or does it give those adults with power to attack the student generation?







오형근 作品 - 소녀연가
김지혜[16] + 강은혜[16], 2004





여고생 시리즈를 제작하는 동안 많은 여학생들과 직접 인터뷰를 가졌던 것으로 안다.
최 선생님이 바라본 이 시대 여학생들의 모순된 현실이 화폭을 통해 기성세대를 공격하는 어떤 진실을 담게 하는 건가?
그렇다면 최 선생님은 이 시대 여학생들을 들여다 보며 이 사회에 분노하고 절망하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 나는 한국 사회에 절망하고 있다.
학생들이 학교 교문을 나서며 보는 모든 것들이 소비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또한 우리 아버지,어머니가 벌이는 작태를 보고 있다.
수많은 학원들과 10대들을 들들볶는 소비 산업을 보라.
학생들을 소비 가치로 전락시킨 어른들은 학생들을 소비자,생산자로 거래하면서 너희들만은 어떻게든 자제하라고 이야기도 한다.
한국 사회 소비이데올로기 끝에 여고생의 매매춘도 있다.
한국이 이미 정도를 넘어서 속도를 제어 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은 확실히 절망이다.





Q It was known that you had lots of interviews with female students whilst working on your series 'school girl'.
Are you trying to make an impact on the adult world through your canvas using your subject ideology?
Would you say that you are angry with Korean society and also despondent looking at it through the perspective of your girl’s student?


A Yes. I am pretty despondent about Korean society.
When the school day finishes and students walk through the school gates,
they are faced with materialism.
This encourages their material desires.
And I am also concerned with their parent’s enthusiasm toward this and the necessity
t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institutes, which means they become victims of this system.
At the edge of Korean materialistic ideology, we can see female students obliged to prostitute themselves.
It has gone so far that it can be no longer controlled and I am despaired by this.












전통적인 유교 문화를 언급해서 묻는다.
김홍도,신윤복의 노골적인 '춘화'를 당시 조선 사회의 계급과 신분이 지향하던 가치를 고발하고
풍자와 해학을 뛰어넘는 욕망에 대한 인간의 본질적인 심리묘사까지 보게 된다고 미학자들은 말한다.
최선생님의 여고생 그림도 이 시대의 현실을 엄연히 고발하고 기록하고 있는 '풍속'화 인가?
그리고
조선시대의 춘화는 춘화를 바라보는 관객이 제 3자로서 관망(관음)을 한다.
그런데 최선생님의 여고생들은 관망이 아닌 어떤 은밀한 관계의 설정으로 다가온다.
훔쳐보기가 아닌 어떤 대결하기 인가?



난 사실(리얼이즘)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일종의 공격이다.
아저씨들! 몽땅 다 덤벼!
그녀들은 삐끼이고
관객을 향해 말을 걸고 보는 이의 치부를 건드리는
이 시대의 현실이다.




Q Refer to Confucianism, I have a question.
Aesthetician says ‘chunwha’(春畵 Pornography / Genre Painting, Joseon Dynasty 18C) style by Kim Hong-Do and
Shin Youn Bok reflects not only society where people had their values based upon the monarchy but also the natural human
psychological state of desire through humorous interpretation.
Do your female students paintings reflect the reality of this society in the way conversation painting did in the 18C?
In the third person the audience look at ‘chunwha’ style with a voyeuristic perspective but in your paintings,
your audience see your work in more personal terms. Does this mean you are confronting?


A In fact, I am painting realism and also it’s attacking male observers.
Come on! All gigolos!
The reality of our society through my painting is to show the observer’s emotional scars.







김홍도(Kim Hong-Do) 作品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은?


평등이다.
크거나 대단하지 않아도 좋다.
비록 보잘것 없는 것이라도 평등하게 사이 좋게 나누었으면 한다.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이런 것이 나에게는 스트레스다.
또한 기성세대가 '개발'하여 아이들에게 끊임없이 던져주는 스트레스이기도 하다.
그들이 이런 것들에 평등 할 수가 있을까?
난 개발이란 단어가 싫다.
개발이란 단어뒤에 자리잡고 있는 권력(힘)의 불균형과 허위가 싫다.




Q What do you love most?


A The equality. It doesn’t have to be big or great but just enough to be shared.
For me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digital camera is a stressful object.
It is something the adult invented to make our children stressful by using these inventions.
How can we say there is equality between the adult and the children?
Personally, I don’t like the word 'invention'.
I don’t like the power and superficiality, which is hidden in invention.







Choi kyoung Tae 作品 - 신작, 2005



최 선생님이 언급한
'이쁜 것이 최고의 가치인 사회'에서 최 선생님이 이쁘다고 인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매우 곤혹스런 질문이다.
교복을 단정하게 차려입은 단발머리 여고생을 보면 이쁘다는 생각이든다.
광택을 충분히 입힌 검은색의 투스카니 스포츠카를 보면 이쁘다는 생각이든다.
이 답변은 위의 이야기들과 비교해 매우 이중적으로 보이지 않나?
내자신이 현재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으니까?
이게 지금 현재 나의 정체인가?
나도 미치겠다!
하지만
나는 솔직하고 싶다.




Q As you mentioned earlier, we are living in a society where cosmetic value counts. What does pretty mean to you?


A It is complicated question.
When I see a girl who is wearing a smart school uniform,
it makes me think she is pretty and a black TVR Tuscan sport car finished well.
Don’t you think I am confusing you with my answers here looking at what I just have told you before?
I am bit lost now and I can’t tell where I am.
This is where I am now.
I feel like I have gone crazy. But I want to be honest.





kellymama / 2005年 04月 19日





Fuck! Chanel



http://kellymama.com/frame_gallery.htm [새창에서 열기]




출처 : 화실전
글쓴이 : 나비 원글보기
메모 :

화가 최경태  "난 포르노가 좋고 중독되어 있다"

 

10일부터 인사동 인사아트센터서 개인전 열어                                                     박건
  
ⓒ 최경태
 최경태
10월 10일부터 16일까지 인사동 인사아트센터에서 화가 최경태 개인전이 열린다. 18세 이상만 볼수 있다.

 

5일. 화가 작업장을 찾았다. 경기도 양평 강상면 대석리에 농가주택을 손질했다. 작업실, 침실, 주방이 길게 일자 구조로 되어 있다. 깔끔하고 정돈된 모습이다. "(충북) 금왕 작업실보다 훨씬 좋군요"라고 물으니 "타일이 깔린 욕실에서 샤워하는게 꿈이었는데 드디어 이루었다"며 즐거워했다. 이번 개인전에 출품할 캔버스 작품이 이젤에 걸려 있다. 붉은 천위에 젊은 여성이 무릎을 세워 벌린 채 누워 있는 그림이다.

 

그는 쉰이 되도록 혼자 산다. 그는 "포르노가 좋고 중독된 것 같다"라 했다. 작가든 누구든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행복을 느낀다. 최경태는 현실에 촉수를 대고 자신만의 삶을 자유롭고 솔직하게 그리는 화가다. 화가로서 상상하고 연출하고 표현한다. 그러나 정작 작품을 세상에 내놓으려면 불안하단다.

 

2002년 음화 전시 판매 및 음란문서 제조 교사 판매 배포죄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2년 가까이 외롭게 혼자서 법정과 싸움을 벌였다. 정부는 궁핍한 화가에게 벌금 200만원을 물리고 절박하게 표현한 작품 31점을 압류했다. 압수된 작품은 불태워 사라졌다.

 

마광수 교수, 김인규 교사도 그랬다. 세사람의 성향은 다르지만 겁많고 소심하고 섬세한 작가들이다. 그러나 '통념에 반한다' 하여 음란물 유포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창녀는 음란하고, 교수는 음란물을 만들면 안되고, 다른 사람은 몰라도 선생 성기는 예술사진에도 못 나오게 꼭꼭 숨겨야한다는 것이 통념이고 기준이었다. 같은 인간들인데도 말이다.

 

5년이 흘렀다. '무서워서 어쩔까하다가 에라 모르겠다. 일단 하고보자'라며 저지르는 전시 란다. 그가 사는 방식이다. 그래도 이번엔 미술전문기획사 '아트불루'가 힘이 되고 있다. 앞서 뉴욕에서 전시회를 했다. 이때 80쪽 분량의 도록도 함께 발간했다. 뉴욕에서는 아무탈 없이 잘치뤘다.

 

이제 다시 서울이다. 음란물에 대한 이중적이고 고무줄 잣대에 죽어 살 수 없다는 절박함이 깔려있다. 작가로서는 생존의 문제요, 예술로서는 표현의 자유 문제다. 논란이 예상되고 궁금하다.

 

미술평론가 김종근은 서문에 "자본주의 시대에 성문화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를 통렬하게 발언하는 전시회"가 될거라고 했다. 몇 달전 '불량아트'를 전시기획한 류병학은 "작가들이 '혹시 내 작품도 소각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사회에서는 절대 좋은 예술이 나올 수 없다. 예술은 불량해야 한다. 예술이란 모름지기 사회 통념에 딴지를 걸고 도전해야 한다"라고 했다.

 

 

 

최경태의 그림은 현실적이다. 젊은 여성들의 성기를 통해 자본주의 성문화를 담아내고 있다. 아랫입술을 깨물거나 아련한 시선으로 오르가즘에 이른 표정도 있다. 이런 그림을 그리기 위해 화가는 사귀는 모델에게 상황을 연출시킨다. 실제 상황을 촬영하기도 한다. 그리고 필요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그림으로 옮긴다. 여성의 성기는 섬세하면서 도발적으로 물들어 있다. 남성들의 성적욕망을 자극하길 바라는듯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어떻게 보면  세상을 향해 조롱하는 듯하다. 그래서 처연하고, 애틋하고, 연민도 있다.

 

급발진하는 버스속처럼 갑자기 뒤로 떠밀려 넘어진 모습도 있다. 중심을 잃고 몸이 흩어지며 엉덩방아를 찧었다. 여고생의 치마가 말려 올라가고 다리가 벌어지고 육감적인 속살이 드러난다. 어떤 승객은 느끼하게 노골적으로 보기도 하고, 어떤 승객은 훔쳐 보고는 안본척 하고, 어떤 승객은 민망한듯 시선을 돌리며 운전수를 책망한다.  이어 상상해보자. 맨 뒤좌석에 다소곳이 앉아 이 상황을 보고 있던 동료 여고생이 있다. 이 때 운전수와 승객들을 향해 가랑이를 활짝 벌려 치마속을 보여주며 외친다.

 

'자 봐라 봐, 맘껏봐라 싸가지들아!'

 

최경태의 최근작들은 후자에 가깝다. 젊은 여성들의 샅이 까발려진 원인은 이 사회에 있다. 그의 그림은 성적욕망을 부추기기보다는 가랑이를 벌리게 만든 사회와 자본을 겨누고 있다. 그리고 진정 사랑과 행복이 무엇인지 동시에 반문하게도 한다. 까발려진 젊은 여성들의 그림들은 사회 현실을 통찰하여 보게 한다. 남성중심이 아니라 인간중심이다. 마초가 아니라 페미니즘에 가까이 있다. 80년대 민중판화를 그릴 때도 그렇고 지금도 여전히 그는 '인간답게 사는 세상, 희망의 세상을 그리고 싶다'고 했다.

 

젊은 여성들이 생존을 위해, 부를 위해, 신분상승과 권력을 위해 성을 상품화하고, 상납하고, 로비하는 현실이다. 신자유주의, 자본주의가 그런 것을 부추기고 있다. 이런 자본주의의 부추김과 성문화에 말을 걸고 싶은 것은 작가로서 당연하고 정당하다. 그의 말걸기는 노골적으로 '음란'을 다룬다. 거침없이 자유롭다.

 

자유, 민주, 자본주의에서 음란은 '선악'의 문제인가? 아니 '선호'와 '선택'이 아니던가.  공산주의라면 이런 일이 깜도 되지 않을거다. 지금 세상은 자본주의다. 최경태의 그림은 자본주의 성문화를 패러디하고 있다. 이게 문제라면 아이러니다.

2007.10.07 11:29 ⓒ 2007 OhmyNews